(보도자료) 매일경제 임플란트는 비싼걸로?…잇몸뼈가 좋아야 성공 세부내용 목록
제목 (보도자료) 매일경제 임플란트는 비싼걸로?…잇몸뼈가 좋아야 성공
보도매체 매일경제
조회수 2653



이달부터 임플란트와 틀니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본인부담률 50%)이 65세 이상으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치아 1개당 120만원이 넘는 임플란트 시술 비용이 건강보험 적용을 받으면 60만원대로 줄어든다. 세계적으로 치과임플란트 급여화는 스웨덴을 제외하고 한국이 두 번째다. 

보건복지부가 제공한 사례를 보면 위턱에 치아 2개가 없고, 아래턱에 치아 6개가 없는 67세 노인이 치과에서 임플란트 2개와 부분틀니 시술을 받으면 현재는 임플란트 2개 320만원, 부분틀니 160만원 등 총 480만원을 내야 한다.


그러나 건강보험이 적용되면 188만원만 내면 된다. 현재 65세 이상 인구 중 치아를 20개 이상 보유한 비율은 50.5%이며, 이 중 28.6%는 의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대표적인 의치는 틀니와 임플란트다. 임플란트는 지금까지 나온 최상의 인공치아이지만 실패하면 뼈를 잘못 다룬 것 이상으로 육체적·정신적 부담이 크다. 또한 신경 손상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도 있다. 임플란트를 아래턱에 심을 때 임플란트의 끝부분이 너무 깊이 들어가 신경을 압박하면서 턱의 신경이 마비되어 신경이 손상되는 것이다. 틀니는 상대적으로 싸고 치료 기간이 짧은 것이 장점이지만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을 씹기 힘들고 식사를 할 때 잇몸이 아플 수 있다. 또한 틀니는 일주일에 2~3회 세정제로 소독하고, 2~3년에 한 번씩 수리해야 하며 7~10년을 주기로 교체를 해줘야 한다. 


치아도 나이가 들면 몸에 질환이 생기듯이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손실된다. 치아 손실의 주범은 잇몸병으로 치석과 충치 등에 의해 생긴다. 40·50대에 시작된 잇몸병은 60대 이후 악화되어 치아 손실로 이어진다. 잇몸병(치주질환)은 치아를 감싸면서 지지하는 잇몸(치주), 잇몸뼈(치조골), 치주인대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잇몸병은 염증이 잇몸에만 생기는 치은염, 치은염이 심해져 잇몸뼈에까지 염증이 번져 뼈까지 파괴된 치주염으로 나뉜다. 치주염으로 인해 잇몸뼈가 녹아내리면 최악의 경우 치아를 뽑게 되고, 임플란트를 심거나 틀니를 해야 한다.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허성주)에 따르면 국내 틀니 인구는 약 400만명으로 65세 이상 인구 2명 중 1명꼴(45.7%)로 하고 있다. 학회는 "음식물을 씹고 건강을 위해 틀니와 같은 의치가 꼭 필요하다"며 "음식물을 잘 씹으면 소화기관의 부담을 줄여 위장 건강을 유지할 수있고, 씹는 운동을 통해 뇌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켜 학습과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퇴행을 방지해 치매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학회는 그러나 틀니는 관리를 잘못하면 입속 염증이나 세균 감염으로 구강 건강을 해치고 심한 경우 폐렴, 당뇨병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구강보건학회가 틀니 관리 실태를 조사해보니 틀니 사용자 10명 중 7명이 틀니 세정 방법을 잘못 알고 있었다. 주된 세정법으로 44.2%가 치약을 꼽았고 흐르는 물에만 헹구는 경우는 24.8%, 소금물에 담그는 경우는 6.4%였다. 하지만 치약은 연마제 성분에 의해 표면에 스크래치가 생기고 틀니 마모를 초래한다. 물로만 헹구면 세척과 살균이 힘들어 세균이 증식하기 쉬우며 소금물은 생각보다 살균 효과가 크지 않고 틀니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틀니는 오랫동안 착용하면 잇몸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수면 시간 동안에는 제거하는 게 바람직하다. 수면 중에는 침 분비가 줄어 구강 내 세균이 증가하는데, 이때 틀니를 끼고 자면 혀나 틀니에 더 많은 플라크가 끼게 되고 틀니 구취뿐만 아니라 잇몸 조직에 손상이 온다. 


김성균 관악서울대치과병원 원장은 "틀니 사용자는 잠자기 전에 틀니를 구강에서 제거하고, 식사 후 입안을 씻고 틀니도 주방용 세제 등을 부드러운 틀니용 솔에 묻혀 문지르고 물로 충분히 세척해야 한다. 마모제가 들어간 치약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플란트는 인공치아 뿌리를 뼈에 삽입하는 시술이다. 저작력이 자연치아의 85%에 이를 정도로 씹는 힘이 강하다. 관리를 잘할 경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초기 비용이 많이 들고, 수술을 해야 하며 치료 기간이 3~6개월 소요되는 게 단점이다. 또 구강 상태나 고혈압, 당뇨, 심장질환 등과 같은 전신질환이 있으면 임플란트 시술이 어려울 수 있다. 


임플란트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치아를 언제 뽑느냐다. 전문가들은 잇몸뼈가 녹아내리기 전에 발치(拔齒)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잇몸뼈가 앞·뒤·좌·우·밑 등 5개 부위 중 2~3곳만 녹아내려도 발치를 하는 게 좋다. 김태성 닥터뉴욕치과 원장(치의학 박사)은 "발치한 주위에 뼈가 남아 있으면 임플란트할 때 BMP(골 형성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를 넣어주지 않아도 90%까지 뼈가 만들어져 임플란트 시술 기간이 단축되고 효과도 빠르다"고 설명했다. 김태성 원장은 임플란트 수명을 결정하는 것은 제품이 아니라 잇몸뼈라고 강조했다. 못을 박을 때 비싸고 품질 좋은 못보다 벽이 중요한 것과 같은 이치다. 잇몸뼈만 좋으면 중저가 국산 임플란트 제품을 써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임플란트를 몇 개나 심는 게 좋을까? 임플란트를 많이 하는 사람은 8~10개까지 심지만 대부분 4~5개를 심는다. 치아 부위 중에서는 음식을 씹는 어금니를, 그다음으로 외모를 고려해 앞니(前齒)를 주로 한다. 꼭 2개만 임플란트를 한다면 어금니와 앞니를 하는 게 좋다. 송곳니가 있다면 앞니에 임플란트를 하나 심고 브리지(Bridge)를 하면 일거양득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브리지는 남아 있는 치아를 이용해 상실된 치아를 수복(修復)하는 인공 대체물이다. 


임플란트는 시술 경험이 많고, 무엇보다 열정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치과의사에게 가는 게 바람직하다.


 페이닥터(월급쟁이 의사)를 여러 명 두고 어떤 의사는 심고, 어떤 의사는 보철만 하는 등 분업식으로 이뤄지는 곳은 주의해야 한다. 전공을 가지고 일반화할 수 없지만 보철과나 치주과, 구강외과 전문의가 상주하는 곳에서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게 안전하다. 


이계원 서울시치과의사회 부회장(송파이계원치과원장)은 "임플란트 치료는 복잡해 부작용 또한 다양하다"며 "대표적인 부작용이 치아로 음식을 못 먹거나 음식물이 잘 끼고 치아가 흔들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어 "임플란트 치료 1~2년 후 문제가 발생한다면 대부분 시술자의 경험 미숙인 경우가 많으니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곳인지 먼저 확인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사보기

언론보도 전,후 글목록
이전글 (학술/학회) Tarnow Alumni Symposium
다음글 (보도자료) 자연치아 살리는 ‘의도적 재식술’

닥터뉴욕 방송자료

닫기